독서

책/ 함민복 『눈물은 왜 짠가』

숫양 2022. 11. 4. 19:06

1. 찬밥과 어머니

혼자 산지 오래되었다. 혼자 먹는 밥은 쓸쓸하다. 혼자 산 지 오래된 어머니도 그러하리라. 내가 밥상머리에서 늘 어머니를 생각하듯 어머니도 나를 생각하실 것이다. 
'찬밥과 어머니' 中

혼자서 12년을 살았다. 이십 대는 온전히 혼자였다. 자주 쓸쓸했고, 아프면 어김없이 서러웠다. 어머니와 함께 사는 아버지가 부러웠다. 여전히 어머니에게서 밥상을 받고 있어서. 그래서 어머니 밥상이 그리웠다. 때로 꼴 보기 싫고 원수 같아도 나와 함께 밥을 먹어주는 식구가 있다는 건 복이다. 그 사실을 가슴에 새겨둔다. 혹시 이혼을 당해서 혼자가 될 때를 대비해서 어지간한 요리는 배워두었다. 

2. 가족사진 

내가 한 번이라도 가족사진을 찍어보았다면 사진 속 사람들의 행복한 순간이 내게 번져올 수도 있으련만...
'가족사진' 中

고향집 안방에 가족사진이 여러 장 걸려있다. 모두 부모님이 찍자고 한 사진이다. 사진 속 식구는 모두 행복한 표정이다. 어색은 있어도 가식은 없는 표정이다. 사진 밖 현실과 동떨어진, 낯선 순간이기도 하다. 지난 명절 때, 사진마다 웃고 있는 내 모습이 어딘가 쓸쓸해 보였다. 늘 화목하기만 하고 행복하기만 한 가족이 있기나 한 걸까. 사진에 등장하는 식구가 점점 늘었다. 점점 늘던 식구는 점점 줄게 될 것이다. 

3. 성선설

손가락이 열 개인 것은
어머님 배 속에서 몇 달 은혜 입나 기억하려는
태아의 노력 때문인지도 모릅니다
'성선설'

함민복 시인이 쓴 성선설을 잃고 이분은 시인이구나 생각했다. 보통 시인이 아니구나 생각했다. 『눈물은 왜 짠가』에 수록된 시는 물론이고 산문마저도 운문 같았다. 모든 문장이 좋았다. 망운지정이랄까 수구초심이랄까. 그런 사자성어가 절로 생각났다. 글은 흉내 낼 수 있을지 몰라도 시인의 마음은 모방할 수 없을 것이다. 마음이 부러운 사람이다.